러시아 미술
-
17. 바실리 막시모프카테고리 없음 2018. 12. 13. 08:09
▪막시모프는 농가에서 태어나 일찍 고아가 되어 이콘제작소에서 일하며 그림을 처음 배웠다. 19살에 황립예술학교 입학, 1864년 "아픈 아이"를 그려 재학생 금메달 수상. 3년의 학교를 마친 1865년, 크람스코이가 이끌었던 14명의 학생처럼, 막시모프는 학교의 메이저 금메달 경연대회에 불참한다. 막시모프는 이 금메달의 부상으로 가는 유럽유학보다는 러시아 농촌에서 그림공부하는 쪽이 낫다 생각했다. 그는 슈비노 마을로 이주하여 귀족 자제에게 그림지도를 하며, 농촌의 삶을 그렸다. 에칭화로만 남아있는 "Sick Child." 1864. 이 그림은 막시모프가 그리기 전 해에 고향을 찾아 누나의 10살짜리 딸이 병으로 급사한 개인사를 그린 것이예요. 아직 황립예술학교 학생일때라, 농부의 침대를 마치 귀족의 휘장..
-
16. 이사크 일리이치 리비탄카테고리 없음 2018. 12. 13. 07:47
▪러시아의 풍경화가. 후에 "무드 풍경화(Mood landscape)"란 쟝르로 발전. 수채화, 파스텔화, 삽화를 포함해 천여점이 넘는 작품을 남겼다. 자화상. 1880.(20세때) 현재의 리투아니아 지역의 가난하나 지식인인 유대인 가정에서 출생. 부친은 랍비였고, 리비탄은 유대교 초등학교를 마친 뒤 독학했다. 독어와 불어를 가르치기도 했고 회사에서 번역사로도 일했다. 1873년 가족이 모스크바로 이주하며, 리바탄은 모스크바 미술 건축 조각 학교에 입학하여 풍경화 반에서 수학. 유명한 바실리 페로프, 바실리 펠로노프 등이 그의 스승이었다. 1879년 유대인 대추방운동으로 리비탄 가족도 도시에서 쫓겨났으나, 예술가들의 반대 운동의 덕에 리비탄은 귀환했다. 1880년 러시아 미술의 대부 파벨 트레치코프가 "..
-
15. 이반 아이바조프스키카테고리 없음 2018. 12. 13. 07:30
자화상 스케치. 1830-1840 ▪러시아 낭만주의 화가로 바다풍경을 가장 잘 그린 화가중의 하나. 흑해 연안의 아르메니아인 가정에서 태어나 주로 자신의 고향인 크리미아에 살았다. 황립 예술학교 졸업후 유럽으로 건너가 이태리에 잠시 거주했는데, 영국에 들렀을때 윌리엄 터너를 만나 "달밝은 밤의 네이플 만"을 보여주자 터너는 감동하여 이태리어로 시를 써주었다고. 러시아로 돌아와 해군 전속 화가로 임명되었고, 러시아 제국의 군사 및 정치 고위권과 친밀한 관계를 유지했다. 그는 살아 생전 인정과 존경을 받아, 안톤 체홉의 표현인 "아이바조프스키의 붓만큼 가치있는"이란 관용구는 러시아에서 "말로 표현할수 없이 아름다운 것"을 묘사하는 뜻으로 쓰였다. 안톤 체홉이 1888년 그를 만나 쓴 글. "....부드런 손..
-
14. 아힙 쿠인지카테고리 없음 2018. 12. 13. 02:59
러시아 풍경화가. 그리이스계 구두공의 아들로 우크레이나에서 태어나 가난한 유년시절을 보냈다. 6세때 부모를 잃고 교회 건축장에서 일하거나, 가축 돌보기, 옥수수 상인을 위해 일하며 생계를 유지했다. 집안 친구인 그리이스계 선생으로부터 겨우 교육을 받은 후, 마을 학교에 진학했다. 13세때 유명한 화가 이반 아이바조프스키 문하생이 되지만, 고작 물감이나 섞는 조수 노릇이었지 정식 제자는 아니었다. 그래도 후에 쿠인지가 화가가 된 초기에는 그림 양식을 갖추는데 그의 영향을 받았다. 영국미술사가 John Bowlt는 쓰기를, "아이바조프스키의 황혼, 폭풍, 바다의 파도와 연관된 빛과 형태에 있어서의 기본적인 감각은 어린 쿠인지에게 영원히 영향을 미쳤다." 타간록 시에서 5년간 사진술을 배워 자신의 사진관을 열..
-
13. 알렉산더 키실료프카테고리 없음 2018. 12. 13. 02:42
러시아 풍경화가, 그라픽 아티스트이자 교육자. 헬싱키 외곽의 러시아 해군기지에서 태어남. 셍페테르스부그 대학에서 법학을 배우고, 황립미술학교에서 수학. 1877년 모스크바로 이주하여 중학교 미술교사를 지냈고, "이동파"의 열렬한 회원이 된다. 유럽과 러시아를 두루 여행하며 크리미아와 코카수스 지역 풍경화를 그렸다 1893년 황립예술학회의 정식회원이 됨. 셍페테르스부그로 이주해 황립미술학교 교수가 됨. 크라스노다르 지역 투압시에 집을 지었는데, 현재는 그 곳이 공공미술관이다. 우크라이나 풍경.1870 카르카프의 동네 조망. 1875 겨울 풍경. 1878 크리미아의 풍경. 187 강가의 풍경. 1880 남쪽의 풍경. 1881 강. 1884 코카노포 지역. 1885 골짜기에서. 바구니를 든 시골처녀. 1880..
-
12. 니콜라이 카사킨카테고리 없음 2018. 12. 13. 02:28
카사킨은 러시아 제정시대에서 소비에트 사회주의 화가로 변신한 성공적인 예이다. 사회주의 사실주의를 창시한 선구자로서 미술계의 '고르키'라 불린다. 부친은 판화가이자 석판화가였다. 모스크바 미술, 조각, 건축 학교를 졸업할 때 "교회문앞의 거지들"로 메달을 받았다. "이동파" 회원이었고, 1894년부터 1917년까지 모교의 교수로 재직했다. 30년간 이반 사틴의 달력, 교육용 석판화에 삽화를 담당했고, 농노해방령(Emancipation Reform) 50주년을 기리는 백과사전과 "그림속의 러시아 역사" 전집 제작에 관여했다. 1917년 10월 혁명 이후, 그가 가르치던 황립예술학교가 폐쇄되고, 카사킨은 Sokolniki District Council의 교육국에서 가르쳤고, 1923년에는 최초의 "공화국 인..
-
11. 니콜라이 게카테고리 없음 2018. 12. 13. 02:07
러시아 사실주의 화가로서 역사적 , 종교적 그림으로 유명하다. 니콜라이 게는 조부가 18세기에 러시아로 이민온 프랑스 혈통의 귀족 가문 태생이다. 조실부모하고 농노 유모의 손에 컸다. 키에프와 상 페테르부르그 대학에서 물리학과 수학 전공하다 황립예술학교로 옮긴다. 1857년 "The Witch of Endor Calling Up the Spirit of the Prophet Samuel(아래의 그림)"로 금메달을 받으며 졸업. 칼 브륄로프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는 게 자신의 말. (글 그림 출처 Wiki.) The Witch of Endor Calling Up the Spirit of the Prophet Samuel. 예언자 사무엘의 혼령을 부르는 엔도르의 마녀. 1857. 게는 장학금을 받아 독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