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6. 빅토르 바스네쵸프.카테고리 없음 2018. 12. 14. 02:36
▪신화와 역사적인 주제를 주로 그린 화가. 러시아의 민속화와 낭만적인 민족그림의 창시자 중 일인이고 또한 러시아 부활운동의 핵심인물이었다. 자화상. 1973 바스네쵸프의 부친은 철학자 성향의 성직자로 아들 빅토르와 아폴리나리 바스니쵸프(둘 다 화가)에게 새에 관해 가르치는 등 교육적인 환경을 마련해주었고 그의 조부는 이콘화가였다. 빅토르는 지역학교에서 그림을 배워 마을풍경을 그렸다. 빅토르 자신의 어린 시절을 회상하며, "농부의 아이들과 함께 살았는데, 나는 (신분의 차이없이) 그들을 진짜 친구로 좋아했다." 수확하는 노동자. Reaper. 1867 (바스네쵸프는 이때-19세때- 그린 그림 몇 점을 팔아 상페테르부르그 가는 경비에 보탰다.) 바스네쵸프는 1867년 셍페테르부르그 황립미술학교에 입학했다. ..
-
25. 비탈리 티코프카테고리 없음 2018. 12. 14. 02:21
▪러시아 이동파에 속한 화가로 루벤스 스타일의 누드화로 유명하다. 우크라이나 태생으로 1904년 황립예술학교에 진학하여 블라드미르 마코브스키와 일리아 레핀의 지도를 받았다. 1912년 학교를 떠났고, 여러 미술대회에서 상을 받고 그 결과 "미술가" 자격을 따고 외국 유학비를 받았다. 같은 해 티코프는 친구 니콜라이 페친과 함께 레핀의 은퇴를 막는 청원서를 내기도 했다. 1930년, 티코프는 노동자와 군인을 그리는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그림을 떠나 다른 주제를 모색했다. 그가 그린 "목욕하는 여인들"은 2011년 1,700만 루브르에 팔려 그해 4번째로 비싸게 팔린 그림이었다. (글 출처. Wiki. 그림. Artnet Russia) 누드 초상. Nude portrait. 1919 거울 앞 비너스 Venus..
-
24. 에밀리 섕크스카테고리 없음 2018. 12. 14. 01:51
▪모스크바에서 활약한 영국 화가. Peredvizhniki(이동파)에 참가한 최초의 여성화가. 에밀리 섕크스는 모스크바 출생이다. 부친은 모스크바에 연 영국상점의 사업이 번창하여 에밀리는 넉넉한 부모의 후원으로 지식인 계층과 교류할 수 있었다. 에밀리의 언니 루이즈 섕크스는 톨스토이의 소설을 영역하여 옥스포드대에서 출판하였는데, 당시 가장 잘 된 번역이란 평을 받았다. 또한 에밀리의 여동생은 톨스토이의 딸과 친구여서 그들은 톨스토이 저택을 방문도 했다. 새로 온 학생. 1892. New Girl at School. Tretyakov Gallery. 에밀리는 1882년 모스크바 미술, 조각, 건축학교에 입학하여 Peredvizhniki 멤버로 유명한 화가였던 바실리 폴레노프, 블라드미르 마코브스키의 지도를..
-
23. 알렉세이 사브라소프카테고리 없음 2018. 12. 14. 01:30
▪러시아의 풍경화가로 서정적 풍경화의 창시자. 사브라소프는 상인의 아들로 태어나 어려서부터 그림을 그렸다. 8살에 모스트바 미술 조각 건축학교에 입학하여 20세에 졸업하고 풍경화에 전념했다. 1854년 황립예술학교 교장의 초청으로 상페테르부르그로 이주. 이사크 리비탄, 콘스탄틴 코로닌이 제자였다. 그는 파벨 트레치코프 등과 교류했고, 특히 바실리 페로프와는 아주 친해서 서로의 그림에 도움을 주었다고. (페로프의 새잡는 사람의 풍경을 사브라소프가 그렸고, 사브라소프의 "Volga near Yuryevets"의 보트 예인선은 페로프가 그렸다.) 1860년 영국과 스위스를 여행하고 영국화가 John Constable, 스위스 화가 Alexandre Calame의 영향을 받았다. 1870년대 말, 아마도 187..
-
22. 바실리 드미트리비치 폴레노프카테고리 없음 2018. 12. 14. 01:18
▪러시아의 사실주의 풍경화가로Peredvizhniki(이동파)의 일원. 폴레노프의 유명한 1878년 그림. " 러시아의 전형적인 안마당". 셍페테르스부르그 태생으로 1863-1871년 황립예술학교에서 공부했다. 동급생으로 이동파 미술가이자 유명한 사진사였던 라파일 레비츠키와 막역지우였다. 그들의 서간문은 폴레노프 저택 갤러리에 보관중으로 당대 미술사의 중요한 자료이다. 폴레노프와 레비츠키는 둘 다 독신 때 "Devich'e Pole"거리 (처녀의 들판이란 뜻)에 있는 집의 다락방에서 함께 살았는데, 훗날 레비츠키가 이 집의 여주인과 결혼하였다. 아래 그림은 폴레노프가 그린 그 집이다. 할머니의 정원. 1878. Tretyakov Gallery 폴레노프는 러시아-터키 전쟁의 (1877-1878) 종군 화가..
-
21. 바실리 그리고레비치 페로프카테고리 없음 2018. 12. 14. 00:50
▪러시아 사실주의 화가. Peredvizhniki (방랑자들, 이동파)의 일원. 지방행정관이자 남작의 혼전관계로 인해 태어나 비록 후에 부모가 결혼을 했지만 이미 태어난 바실리 페로프는 부친의 성과 작위를 물려받을 수 없었다. 대부의 성을 받아 바실리에프로 살다가 후에 본인이 깃털이란 뜻의 페로프로 바꾸었다. 21세에 모스크바 회화, 조각, 건축학교에 입학하여 자질을 계발하여 1861년 "Sermon in Village"로 대상을 받고 장학금 수혜자로서 독일, 파리 등을 여행한다. 이때 유럽의 거리에서 본 사람들 그림을 파리의 오르간 연주자 등 여러점 그렸다. 마을에서의 설교. Sermon in Village. 1861. 모스크바로 돌아와 1865년에서 1871년 사이 그의 대부분의 걸작들이 탄생한다. ..
-
20. 라파일 S 레비츠키카테고리 없음 2018. 12. 14. 00:48
▪러시아 낭만주의, 인상주의 화가로 "이동파"의 일원. 라파일 레비츠키는 부유한 귀족 가문에 태어났다. 부친은 러시아와 유럽 사진술의 선구자였던 세르게이 레비츠키 백작(1819-1898)이고, 저명한 저술가였던 알렉산드르 이바노비치 헤르젠(1812-1870)이 친척이다. 레비츠키는 미술대 교수이자 평판높은 사진작가. 그가 찍은 마지막 황제 니콜라스 II세의 사진(아래)이 유명하다. 오늘날까지도 레비츠키는 러시아 예술협회에서 위대한 예술가로 평가받는다. 레비츠키가 친구였던 화가 바실리 폴레노프와 주고받은 편지들은 당대 러시아의 주요 화가나 그들의 그림에 관한 언급등, 많은 일화를 담고있는 중요자료이다. 그는 작가 톨스토이 백작과 친해서 자주 그의 집에 머물렀다. 라파일 레비츠키는 화가이자 동시에 훌륭한 사..
-
19. 그리고리 G. 미소예소프카테고리 없음 2018. 12. 14. 00:26
▪러시아 사실주의 화가로 "이동파" 일원. 지주 집안에서 태어나 짐나지엄(중등학교)을 다녔고 이어 황립예술학교로 진학했다. 1862년 "The Flight of Grigory Otrepyev from the Inn (아래 그림)"로 학교 금메달 수상. 그 장학금으로 파리, 피렌체, 로마, 스페인에 체류하며 공부했다. 1870년 귀국하여 곧 학술원 회원이 되고, Peredvizhniki 창립 멤버가 되어 평생 그 운동에 열심이었다. 42세에 농장으로 이주하며 농부의 삶을 관심있게 그렸다. The Escape of Grigory Otrepyev from the Inn 그리고리 오트레피에프의 여관에서의 탈출.(푸쉬킨의 보리스 고두노프 중 한 장면). 1862. 트레치코프 소장 미소예도프는 첫번째 결혼에서 아들..